2025년 현재, 5급 공무원은 일반 행정직, 기술직, 외무직, 검찰직 등 다양한 직렬에서 근무하며, 국가 공무원 체계에서 중간 관리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특히 행정고시, 지역인재 7급 승진, 경력채용 등 다양한 경로로 진입할 수 있으며, 5급은 ‘과장’ 또는 ‘사무관’으로서의 첫 직책을 맡는 경우가 많아 실무와 책임이 병행되는 단계입니다. 본 글에서는 2025년 기준 5급 공무원의 호봉별 연봉 구조를 중심으로 기본급과 수당을 포함한 실수령액을 분석합니다.
2025년 5급 공무원 기본 연봉 및 구조
5급 공무원의 기본급은 인사혁신처가 고시한 ‘공무원 보수표’에 따라 지급됩니다. 여기에 직책 수당, 정근수당, 교통보조비, 식대, 가족수당, 시간외근무수당 등이 별도로 포함됩니다. 또한 2025년에는 물가 상승과 공공 인건비 개편에 따라 전체 연봉 체계가 평균 3.5% 인상된 상태입니다.
5급 공무원 호봉별 연봉 표 (2025년 기준)
호봉 | 기본급(월) | 수당 포함 실수령액(월) | 연봉 총합(예상) | 비고 |
---|---|---|---|---|
1호봉 | 3,300,000원 | 3,900,000원 | 약 46,800,000원 | 행정고시 초임 기준 |
3호봉 | 3,450,000원 | 4,050,000원 | 약 48,600,000원 | 3년 차 사무관 |
5호봉 | 3,600,000원 | 4,200,000원 | 약 50,400,000원 | 중견 관리자 진입 |
7호봉 | 3,750,000원 | 4,350,000원 | 약 52,200,000원 | 기술직 승진 후보군 |
9호봉 | 3,900,000원 | 4,500,000원 | 약 54,000,000원 | 승진 대기자 |
11호봉 | 4,050,000원 | 4,700,000원 | 약 56,400,000원 | 4급 승진 임박 |
수당 구조 및 실질 연봉 차이 요인
5급 공무원의 실질 연봉은 기본급 외에도 다양한 수당 구조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표적인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직책수당: 사무관 직위에 따라 월 15만 원~30만 원 수준
- 정근수당: 근속 기간에 따라 연 2회 지급 (약 월 6~10% 수준)
- 시간외수당: 초과 근무 시 별도 지급, 월 20~50만 원 수준
- 가족수당 및 식대: 약 월 20만 원 내외
이러한 항목을 모두 고려하면, 5급 공무원은 평균적으로 기본급의 약 15~20% 수준의 수당을 추가로 수령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연봉 총액은 기본급 대비 월 평균 60만 원 이상 더 높아지는 구조입니다. 특히 근무 부서가 중앙부처냐, 지방청이냐에 따라 시간외수당과 업무특수수당 등의 차이도 존재합니다.
2025년 이후 공무원 연봉은 직무 중심으로 개편될 가능성이 높아, 단순 호봉이 아닌 실적 기반 수당 강화가 예고되고 있습니다. 5급 공무원을 목표로 하는 수험생 및 예비 공직자라면 단순 봉급 외에도 이러한 수당 구조와 실질 연봉 흐름을 잘 이해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